#이 포스트는 '어니스트와 주식 빌드업' 유튜브 채널을 정주행하며 메모한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Jqg-d-YAYc
이전 포스팅(#2)에 이어서 시작.
어떤 종목은 지금 이슈가 있고, 최근에 있는게 있고, 이슈가 없는 것이 있다.
뉴스에서는 그런걸 파악한다.
어니스트님은 뉴스를 HTS에서 최근 날짜부터 빠르게 훑어본다. 봐야할 것과 보지말아야할 것(광고 등)을 빠르게 판단한다.
그리고 얻을만한 Fact가 있는지 본다.
Fact라는 것은 반복적으로 보면서 본인의 기준선을 잡아나간다. 예를 들어 기록이나 사실 같은것.
그리고 뉴스를 볼 때 생소한 용어나 개념을 발견했을 때, 검색을 통해 개념을 파악한다.
개념 파악 시 눈으로 읽기만 하면 까먹기 쉬우니, 엑셀이나 워드같은 툴을 이용해서 개념을 슥 정리해본다.
생소한 개념을 포함한 뉴스를 검색하고 정리할 때에, 뉴스에 포함된 특정 키워드가 주가에 연동이 되는지도 메모해놓고 관찰해본다.
다만 이렇게 뉴스를 정리할 때, 너무 많이 하지 말고 2~3개정도만 가볍게 한다.
너무 많이 하면 산으로 가고, 다른 방향으로 깊게 파고들기 마련이다.
외우려들기보다는 한번 접해본다는 느낌으로 본다.
나중에 그 개념을 다시 만났을 때, 기억이 안나면 다시 찾아보면 된다.
경제는 그냥 이런식으로 친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뉴스창을 많이 보다보면 알 수 있는 것이 있다.
만약 큰 이슈라면, HTS 뉴스창에 그 이슈로 도배가 된다.
그럼 그 이슈 관련 기사를 클릭해서 보면서 친해지면 된다.
약간의 팁이 있다면,
네이버에 종목 검색할 때, 연관검색어로 나오는 종목들은 같은 테마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만약 같은 테마군에 속한 종목들이 관심종목에 들어오면,
이 둘중에 무엇을 할지 붙여본다. 급등주 투자시에는 거래량과 수급이 더 좋은 것을 선택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어니스트님은 기업의 재무 관련 숫자의 구성을 본다고 했다.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자산/부채/자본 등의 구성을 매번 볼 때,
기업의 경제활동이나 현금흐름의 구조를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매출액은 높은데 이익은 낮으면 이 기업의 수익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것일지 의문을 가지고
조사를 하면서 기록도 해보면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그렇게 숫자와 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어니스트님처럼 재무 관련 숫자의 조합을 슥 훑어봐도
대략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은 자동차 부품 기업이고, 제조업이다. 제조업은 당시 거시경제 흐름상 어려웠다.
어려운 이유는 인건비나 원자재값이 비싸졌고, 그리고 운영방식의 시간 효율성도 떨어지고 있다.
이런 배경지식같은 것을 가지고 있으면,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의 조합을 보고 회사의 비즈니스 구조를 좀 더 이해할 수 있다.
배경지식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은 이것부터 채워주는 것이 좋다.
(유튜브 공부)#6 주식 싸게 사서 안전하게 수익을 올리는 방법 (0) | 2022.09.13 |
---|---|
(유튜브 공부)#5 급등주 매수 이후 흐름 깨졌을 때 대응방법 (0) | 2022.09.05 |
(유튜브 공부)#4 급등 단타 매수타이밍 잡는 수급분석 방법(장중실황설명) (2) | 2022.09.03 |
(유튜브 공부)#2 주식을 잘하게 되는 고수들의 HTS 셋팅방법 (0) | 2022.08.31 |
(유튜브 공부)#1 급등주 투자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자 (0) | 2022.08.30 |